품절녀의 영국 귀양살이 seasno 1 (2010-2014)492 추석을 보내는 자세, 미국인과 영국인의 결정적 차이 한국은 금요일 저녁부터 추석을 보내려는 귀성객들의 움직임이 시작되었지요. 집집마다 맛있는 명절 음식 장만에 한국 며느리들은 힘들겠네요. 해외에 있는 분들은 명절마다 시댁에 안 가도 되고, 명절 음식 준비를 굳이 안 해도 되니깐, 편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명절 때은 특히나 더욱 한국에 계시는 가족들 생각이 가장 많이 나는 것도 사실입니다. 해외에 살게 되면, 활성화된 한인회가 있지 않는 한, 한국의 명절도 그냥 평일 날이 되기 십상입니다. 영국 교포가 말하길, 자기 동생이 지금 미국에서 살고 있는데 매년 11월에 있는 추수 감사절(Thanksgiving day)이 미국인들에게는 가장 큰 명절인 것 같다고 했다고 해요. 당연하게도 이 날은 미국이라는 신대륙에 청교도들이 자리를 잡고 첫 수확.. 2011. 9. 11. 한국 이공계 기피현상은 영국도 마찬가지? 한국 학생들의 이공계 기피 현상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신문 기사에 따르면, 서울대 공대 학생들이 의예과나 한의예과에 진학하기 위해 무더기 휴학을 하는 현상이 비일비재 하다고 하는군요. 또한 주요 대학 2011년 정시모집 합격자 등록에서도 이공계 관련 학과의 등록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니까요. 그래서 그런지, 입시 학원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서울 대학교의 공대보다 지방의 의예과의 표준 점수 커트라인이 더 높다고 합니다. 한국 사회를 볼 때, 엔지니어의 위치가 예전만 못하며, 점점 고소득이 보장되는 안정된 전문 직종인 의사, 변호사, 공무원 등의 직업을 선호하게 됨에 따라, 한국의 우수 학생들이 법학, 의예과(한의예)로만 몰리고 있는 현실이지요. 그런데, 영국도 한국과 비슷한 현상이 나타.. 2011. 9. 9. 한국인 선처한 영국인, 알고보니 영국 스타의 생부? 저번 주에는 영국 어학 연수를 담당하는 *** 유학 컨설팅 대표가 학생들이 낸 어학 연수비를 중간에서 가로채고 잠적하는 사건이 일어났어요. 여기 캔터베리 콩코드에 다니는 학생들 5명도 그 유학원을 통해 왔다고 하더군요. 나중에 알고보니, 그 중 4명이 저와도 친분이 있는 학생들인 거에요. 그 중 한 친구의 말을 들어보니, 오래 전부터 이상한 징조는 있었더군요. 학생들의 경우에는 스쿨레터를 보내준다면서 차일피일 미룬 일, 영국 어학원의 경우 학생 수업료 지불을 계속 지체한 점 등 뭔가가 잘못되어가는 분위기였다고 했어요. 현재, 카페를 개설하여, 영국 및 한국에 있는 피해자들이 서로 피해액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고 있으며, 이미 고소장을 접수했다고 합니다. 영국에 이미 온 많은 학생들은 수업비가 미지급 상태.. 2011. 9. 8. 영국인의 고부갈등, 한국 만만치 않아 해외에 살고 있는 한국 여자들은 시댁과의 갈등에서 다소 벗어나 있다고 볼 수 있지요. 제가 "해외에 사는 한국 여자들이 힘들다"라는 내용의 글을 썼더니, 댓글 중에 시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그녀들을 부러워하더군요. 얼마나 한국 여자들이 시댁 때문에 힘든 지를 다시 한번 느끼는 계기가 되었답니다. 이제 한국 며느리들이 벌벌 떠는 명절 '추석'이 머지 않았군요. 벌써부터 며느리들은 추석 날짜가 빨리 오지 않기를 바라고 있는지도 모르겠어요. 보통 영국에는 고부 갈등이 그다지 없을 거라고 여겨집니다. 서구 사회는 일찍 자녀들이 독립하기 때문에, 다들 알아서 결혼해서 사는 분위기이고, 제사와 같은 행사가 없으므로 크리스마스, 생일을 제외하고는 자주 만날 일도 없을 것 같고요. 저 역시 결혼한 자녀들은 부모와.. 2011. 9. 3. 이전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23 다음